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국 실업률 상승: 경기침체 신호와 주식투자 전략

by iamgreen85 2024. 8. 7.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지털노매드를 꿈꾸는 기획자 그린입니다.
 
전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인 원인으로 미국의 경기침체 위험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많은데요.
올해 상반기만 해도 미국 경제에 대해 ‘나홀로 호황’이란 평가가 많았던 터라 급부상한 ‘미국 경제침체론’에 신중한 반응도 있긴합니다.
공포가 가라앉으면서 ‘실물경제 위기론’이 과장됐다는 평가도 조금씩 나오고 있구요.

 


 

실시간 삼의 법칙 침체 지표 추이

미국의 경기침체론이 불거진 이유는 실업률입니다.
7월 2일, 미국 노동부는 7월 실업률이 4.3%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 후 시장에서는 실업률을 통해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삼(Sahm)의 법칙’을 떠올렸습니다.
‘삼(Sahm)의 법칙’은 실업률 변화를 통해 미국의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최근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지난 12개월 중 최저 실업률보다 0.5%포인트 이상 상승하면 경기침체가 시작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7월 실업률을 이 산식에 적용해보면, 7월의 실업률은 침체 기준인 0.5%포인트보다 0.03%포인트 더 높습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이를 경기침체의 신호로 받아들인 것입니다.


 

경제성장세와 삼의 법칙의 괴리

하지만 미국 경제는 여전히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분기 미국 GDP 성장률은 연율 2.8%로, 예상치인 2.0%와 1분기 성장률인 1.4%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이는 삼의 법칙이 예측하는 경기침체 신호와는 다른 모습입니다.
클로디아 삼 전 연방준비제도(Fed) 이코노미스트는 삼의 법칙이 경기침체를 조기에 발견하는 데 유용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삼의 법칙은 1950년 이후 발생한 11번의 경기침체 중 1959년을 제외하고 모두 맞았습니다. 1959년에도 6개월 후에 실제로 경기침체가 발생했습니다. 1970년대 이후로는 삼의 법칙이 적용된 지 2~4개월 이내에 경기침체가 발생했습니다.

 


결론

현재 삼의 법칙에 따르면 경기침체 신호가 탐지된 상태입니다. 이 법칙이 과거 사례를 기준으로 할 때, 지금부터 2~4개월 이내에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현재 미국 경제의 성장세가 여전히 강한 점을 고려하면, 실제 경기침체가 발생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경기침체 시기 주식 투자전량

삼의 법칙 침체 지표가 경제 침체의 가능성을 시사할 때, 주식 매매 전략을 신중하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이러한 경제 상황에서 고려할 수 있는 주식 매매 전략입니다

 

 

1. 포트폴리오 재조정

**방어주(Defensive Stocks)로 전환**
  - 필수 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와 같은 방어주는 경제 침체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합니다.
  - 예: Johnson & Johnson, Procter & Gamble, Duke Energy.

**고배당주**
  - 고배당주는 침체기 동안 안정적인 수입원을 제공합니다.
  - 예: AT&T, Verizon.

2. 현금 보유 증가

 **현금 비중 확대**
  -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을 늘려 유동성을 확보합니다. 이는 시장의 하락에 대비한 완충 역할을 합니다.
  - 현금 비중을 높임으로써 미래에 좋은 매수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됩니다.

3. 위험 관리

- **포트폴리오 다각화**:
  - 다양한 자산 클래스와 지역으로 포트폴리오를 분산시켜 위험을 줄입니다.
  - 주식 외에도 채권, 금, 부동산 투자 신탁(REITs) 등을 고려합니다.

- **손절매 전략**:
  -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손절매(stop-loss) 주문을 설정합니다.
  - 특정 주식이 일정 비율 이상 하락하면 자동으로 매도되도록 설정하여 손실을 제한합니다.

4. 경기 방어주와 저평가주

**저평가된 우량주 매수**
  - 시장 조정으로 인해 저평가된 우량주를 매수하는 기회를 찾습니다.
  - 장기적으로 실적이 우수하고 재무 상태가 양호한 기업에 투자합니다.

**경기 방어주 투자**
  - 경제 침체기에도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는 산업에 투자합니다.
  - 예: 식음료, 헬스케어, 필수 소비재.

5. 장기 투자 관점 유지

**장기적 관점 유지**
  -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고, 장기적인 투자 목표를 유지합니다.
  - 역사적으로 보면 경제 침체 후에는 시장이 회복되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전략들은 경제 침체 가능성을 염두에 둔 보수적인 접근 방식으로 투자시 위험 수용 능력과 투자 목표에 맞춰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